총평 : 뒷 내용이 더욱 기대되는 드라마
<수사반장>이라는 유명 작품의 이름을 내건 프리퀄 드라마지만 그 당시 작품을 직접 보지 않았던 세대로서 아이템에 대한 흥미로움은 떨어진 게 사실이었다. 하지만 콕 짚어 1958년이라는 시대를 담고 있다는 궁금증, 이제훈이라는 배우가 가진 파워를 무시할 수 없었다.
1회 : 황천에서 온 사나이 리뷰
첫인상은 경쾌한 활극이었다. 1회는 경기도 황천에서 소도둑을 잡던 형사 박영한이 서울로 올라와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정한 경찰들이 판을 치는 사이에서 정의로운 형사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 모습이 진지하고 칼 같이 떨어지기보다는 어딘지 엉성한 분위기로 진행된다. 극 초반부엔 이제훈의 연기가 <모범택시>의 김도기를 연상케 해서 콩트 같은 느낌이 들었지만 보다 보니 박영한의 유쾌한 성격을 잘 보여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중에게 익숙하지 않은 얼굴들의 조연들도 좋았다. 박영한이라는 캐릭터를 설명하는데 1회의 대부분이 소요되는데, 서장이 와서 갑질을 해도 반기를 들고 전국구를 주름잡는 조폭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언뜻 보면 너무 교과서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잠시 떡밥처럼 풀린 박영한의 학도병 시절 모습이 주인공 캐릭터에 무게감이 더해주며 그의 매력을 올려주었다. 의상, 소품 등의 미술이 그 시대의 고증을 잘 해냈다는 생각이 들었고, DI 역시 50년대 색감을 잘 구현했다. 그저 무난하게 흘러가는 1회라고 생각할 즈음, 엔딩에 김상순이 박영한의 머리를 치는 의외의 신선한 엔딩을 보여주며 2회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다.
2회 : 종남경찰서 꼴통 1반 리뷰
2회는 박영한이 직접 수사 1반의 팀원들을 모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장, 괴짜, 장사, 브레인 4명의 개성 강한 동료들의 합이 좋다고 느낀다. 팀으로 합치게 된 과정이 매우 가볍고 쉽게 그려졌지만, 어쩐지 그 시대였으니까 납득할 수 있었다. 과학수사나 체계적인 방식이 없고 그들만의 예전 수사 방식으로 사건을 풀어는 것이 재미요소로 작용했다. 비리 경찰들에 대한 복수도 미군 물자 기부라는 신박한 방법을 사용했다. 시대극이라는 장르를 잘 이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2회를 시청하며 들었던 근본적인 질문을 박영한이 직접 수사1팀장에게 했다는 것이었다. 왜 자신에게 잘해주는지, 왜 이곳에서 혼자 버티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었다. 드라마의 흐름으로 보면 박영한에게 마냥 호의적이고 정의로운 팀장의 존재가 판타지스럽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는 “이런 세상에 나 같은 놈 하나 있어서 나쁠 거 없지 않냐?”라는 대답을 한다. 결국 드라마가 하고 있는 이야기는 비리가 판치는 시대에도 존재했던 수사 1반과 같은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다. 저 대답을 듣고 난 뒤로 그 근본적인 물음은 이제 하지 않기로 했다.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뻔하지만 좋은 대사였다고 생각한다.
기대감 : 시대를 담고 있는 이야기
앞으로는 이렇게 모인 수사 1반 팀원들이 크고 작은 사건들을 겪어나가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워밍업이었던 1, 2회는 내내 경쾌하고 코믹한 분위기로 흘러갔지만, 1958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맞는 역사적 사건들이 담길 가능성이 있어 후반부 드라마의 농도가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거운 스토리가 진행되며 캐릭터들이 초반 회차와 대조되는 모습으로 변화하는 것도 기대되는 지점이다. 다만 짧은 10부 내에서 형사들의 이야기, 시대적 사건, 로맨스적 요소를 모두 다 담을 수 있을지는 걱정이 되기도 한다.
눈을 사로잡는 사건이 있었던 1, 2회는 아니었지만 앞으로의 내용이 더욱 기대되는 드라마이다. 이들이 드라마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이 판타지스럽더라도 분명한 시대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에 앞으로 계속 챙겨볼 것 같다.